고객센터

좌측메뉴

홈 > 고객센터 > 자유게시판
제목 반려인 속 태우는 천차만별 동물병원비
이름 관리자 작성일   2017.01.23
만만치 않은 동물병원비가 반려인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게다가 병원마다 진료비용이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 소비자들의 불신을 낳고 있다. 

17일 소비자교육중앙회 자료에 따르면, 예방접종의 경우 품목별 가격차 비율이 최대 7배에 이르고 동물병원 진료비 차이는 최대 5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치료를 받아도 병원에 따라 가격 차이가 극심한 것이다. 

병원비 부담을 덜어주는 반려동물 의료보험 상품도 수차례 출시됐지만 진료비 수가 기준이 없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높은 손해율을 감당하지 못해 다수 보험상품이 판매 중단되고 남은 몇몇 상품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3년 메리츠화재가 ‘튼튼K’ 반려동물 의료보험을 선보였지만 1년 만에 수익률 문제로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반려동물 의료보험은 삼성화재·롯데손해보험·현대해상 등 겨우 3곳에서만 운영하고 있다.

박애경 한국애견협회 사무총장은 “동물병원 진료비 수가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반려인들이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교류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가격담합의 우려로 1999년 동물병원 수가제를 폐지했지만 적정 진료비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불거진 만큼 현실적인 수준의 합리적인 표준수가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동물 진료 수가 기준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해 지난해 8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을 위한 공개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참여 시민들은 수가 체계가 마련되면 과잉진료를 저지하고 동물의료보험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공감하면서도 오히려 진료비용이 획일적으로 상향조정될 경우 병원비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을 크게 우려했다.

독일의 경우 진료수가를 법으로 표준화하고 있다. 독일정부는 ‘진료비 하한선’을 설정해 하한선의 3배 이상 받을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법적규제는 없지만 미국동물병원협회에서 진료비 평균값 등 기초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맡기고 있다. 농식품부 방역총괄과 관계자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들이 많았다”며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동물진료 표준항목 체계를 마련하고 해외사례 등에 대해 연구조사 후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했다.

합리적인 반려동물 의료 수가 체계가 자리 잡는다면 늙고 병든 반려동물의 의료비 부담이 줄고 유기동물 문제의 예방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병원 의료 수가 체계는 일부 집단의 이익이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돼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 목소리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117/82437479/4#csidx90aaf54969a65b7af1dcd45c08dd739
만만치 않은 동물병원비가 반려인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게다가 병원마다 진료비용이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 소비자들의 불신을 낳고 있다. 

17일 소비자교육중앙회 자료에 따르면, 예방접종의 경우 품목별 가격차 비율이 최대 7배에 이르고 동물병원 진료비 차이는 최대 5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치료를 받아도 병원에 따라 가격 차이가 극심한 것이다. 

병원비 부담을 덜어주는 반려동물 의료보험 상품도 수차례 출시됐지만 진료비 수가 기준이 없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높은 손해율을 감당하지 못해 다수 보험상품이 판매 중단되고 남은 몇몇 상품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3년 메리츠화재가 ‘튼튼K’ 반려동물 의료보험을 선보였지만 1년 만에 수익률 문제로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반려동물 의료보험은 삼성화재·롯데손해보험·현대해상 등 겨우 3곳에서만 운영하고 있다.

박애경 한국애견협회 사무총장은 “동물병원 진료비 수가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반려인들이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교류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가격담합의 우려로 1999년 동물병원 수가제를 폐지했지만 적정 진료비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불거진 만큼 현실적인 수준의 합리적인 표준수가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동물 진료 수가 기준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해 지난해 8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을 위한 공개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참여 시민들은 수가 체계가 마련되면 과잉진료를 저지하고 동물의료보험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공감하면서도 오히려 진료비용이 획일적으로 상향조정될 경우 병원비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을 크게 우려했다.

독일의 경우 진료수가를 법으로 표준화하고 있다. 독일정부는 ‘진료비 하한선’을 설정해 하한선의 3배 이상 받을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법적규제는 없지만 미국동물병원협회에서 진료비 평균값 등 기초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맡기고 있다. 농식품부 방역총괄과 관계자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들이 많았다”며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동물진료 표준항목 체계를 마련하고 해외사례 등에 대해 연구조사 후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했다.

합리적인 반려동물 의료 수가 체계가 자리 잡는다면 늙고 병든 반려동물의 의료비 부담이 줄고 유기동물 문제의 예방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병원 의료 수가 체계는 일부 집단의 이익이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돼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 목소리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117/82437479/4#csidx90aaf54969a65b7af1dcd45c08dd739
5000원짜리 광견병접종 4만원 받는 곳도 
예방접종비 최대 7배·진료비 최대 5배 차 
합리적인 표준수가체계 마련 필요성 제기  

만만치 않은 동물병원비가 반려인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게다가 병원마다 진료비용이 천차만별로 차이가 나 소비자들의 불신을 낳고 있다. 

17일 소비자교육중앙회 자료에 따르면, 예방접종의 경우 품목별 가격차 비율이 최대 7배에 이르고 동물병원 진료비 차이는 최대 5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치료를 받아도 병원에 따라 가격 차이가 극심한 것이다. 

병원비 부담을 덜어주는 반려동물 의료보험 상품도 수차례 출시됐지만 진료비 수가 기준이 없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높은 손해율을 감당하지 못해 다수 보험상품이 판매 중단되고 남은 몇몇 상품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3년 메리츠화재가 ‘튼튼K’ 반려동물 의료보험을 선보였지만 1년 만에 수익률 문제로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반려동물 의료보험은 삼성화재·롯데손해보험·현대해상 등 겨우 3곳에서만 운영하고 있다.

박애경 한국애견협회 사무총장은 “동물병원 진료비 수가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반려인들이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교류를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가격담합의 우려로 1999년 동물병원 수가제를 폐지했지만 적정 진료비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불거진 만큼 현실적인 수준의 합리적인 표준수가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반려동물 진료 수가 기준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해 지난해 8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을 위한 공개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참여 시민들은 수가 체계가 마련되면 과잉진료를 저지하고 동물의료보험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공감하면서도 오히려 진료비용이 획일적으로 상향조정될 경우 병원비 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을 크게 우려했다.

독일의 경우 진료수가를 법으로 표준화하고 있다. 독일정부는 ‘진료비 하한선’을 설정해 하한선의 3배 이상 받을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법적규제는 없지만 미국동물병원협회에서 진료비 평균값 등 기초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이 판단할 수 있도록 맡기고 있다. 농식품부 방역총괄과 관계자는 “동물진료 표준수가체계 도입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들이 많았다”며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동물진료 표준항목 체계를 마련하고 해외사례 등에 대해 연구조사 후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했다.

합리적인 반려동물 의료 수가 체계가 자리 잡는다면 늙고 병든 반려동물의 의료비 부담이 줄고 유기동물 문제의 예방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동물병원 의료 수가 체계는 일부 집단의 이익이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돼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 목소리다.
 
 
동아일보 발췌


이전글 ▶ 강아지 공장과 인터넷 매매...슬픈 동물보호법 9조 2항
다음글 ▶ \"강아지도 골든타임 중요해\"…건대에 국내 첫 동물응급센터